아 옛날이여!

2022-01-07

 

   최원현

수필가⋅사)한국수필가협회 이사장⋅사)한국문인협회 부이사장


 아 옛날이여!


카톡! 손녀가 사진을 보내왔다. 제 세 살 때 사진이란다. 한데 그때로 돌아가고 싶단다. 열 살짜리 초등학생이 뭐가 어때서, 무엇이 그의 지금을 힘들게 해서 어렸을 때 운운하는 것일까. 하기야 코로나19로 학교도 제대로 못 가고 집에 갇혀있으면서 아빠 엄마 출근하고 나면 언니랍시고 동생도 신경 써야 할 테니 부담이 되었을 수도 있겠다. 요즘은 학교 수업도 영상으로 해야 하는데 동생 공부까지도 챙겨야 한다. 거기다 점심도 제스스로 꺼내 먹고 동생도 돌봐야 하니 쉬운 일은 아니다. 뿐인가. 그날의 계획표에 따라 실천해 가야 하는 책임도 있으니 벅차지 않을 수가 없겠다.

사람들은 현재를 행복하다고 생각하기보다는 힘들다고 한다. 그러면서 옛날이 더 좋았다고 한다. 그땐 분명 지금보다 더 힘들었을 터인데도 지나놓고 나니 그때가 덜 힘들었던 것 같고 지금이 가장 힘든 것 같이 느껴진다. 어른인 나도 이때를 이겨내기가 쉽지 않은데 아무 걱정 없이 마음껏 뛰어놀기만 할 나이의 손녀가 그렇지 못하니 얼마나 더 힘들겠는가. 하필 손녀가 사는 아파트에서 확진자가 나와서 엘리베이터를 타는 것도 바깥에 나가는 것도 더 겁이 날 수밖에 없었단다. 그러니 더 조심해야만 했고 그만큼 하루하루를 보내는 게 쉽지 않았을 것이다. 엄마가 다 챙겨놓고 나간다지만 그걸 꺼내 먹고 치우는 것도 버거운 일 아닌가. 거기다 언니랍시고 늘 동생 먼저 생각해야 하니 어른보다도 더 큰 부담을 느낄 법도 하다. 해서 그런 거 없는 어렸을 때로 돌아가고 싶다고 하는 것일까.

손녀는 미국에서 태어났다. 아이가 돌때 미국엘 갔었는데 녀석은 카시트에 앉혀지는 걸 죽기보다 싫어했다. 카시트에 앉는 순간 자지러져서 차에서 내리는 순간까지 울곤 했다. 신기하게도 카시트를 벗어나는 순간 언제 그랬느냐 싶게 울음이 그치고 웃음으로 돌아왔다. 분명 아이를 불편케 하는 무언가가 있었을 것 같은데 그땐 그저 벨트에 묶이는 것이 싫어서일 거라고만 생각했었다. 지금 아이가 어렸을 때로 돌아가고 싶다는 이면에도 분명 그런 무언가가 있을 것 같다.

요즘은 아닌 게 아니라 하나같이 ‘아, 옛날이여’를 소망하고 있다. 무엇 하나 자유로운 게 없기 때문이다. 여행을 하는 것도, 식사를 같이 하는 것도, 어떤 행사를 하는 것도, 심지어 장례식이나 결혼식은 알리기도 부담스럽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아파트단지나 뒷산 운동기구들도 죄다 묶어놓았었다. 행여라도 전염물이 다른 사람에게 옮겨갈 수도 있다는 생각에 아예 차단을 하는 것이겠지만 영 마음이 편치 못했다. 마치 마지막 순간에 중환자실에서 수많은 줄에 의지해 숨을 쉬고 있는 환자를 보는 것 같았다. 나를 쳐다보는 그들이 애처롭기 그지없었다. 가위로 다 잘라내어 자유롭게 해주고 싶었다. 아무렇지 않게 자유롭게 무엇이든 이용할 수 있었던 때가 정말이지 그립고 그립다.

 

이젠 내 곁을 떠나 간/아쉬운 그대기에/마음속의 그대를/못 잊어 그려본다/

달 빛 물든 속삭임/별 빛 속에 그 밀어/안개처럼 밀려 와/파도처럼 꺼져간다/

아 옛날이여/지난 시절/다시 올 수 없나 그날/아니야 이제는 잊어야지/

아름다운 사연들/구름 속에 묻으리/모두 다 꿈이라고/아 옛날이여/

 

1985년 이선희의 1집 앨범에 실렸던 인기곡이었는데 새삼 이 노래가 요즘엔 가장 부르고 싶어진다. ‘있을 때 잘해’란 노래처럼 옆에 있을 땐 그 소중함을 전혀 모르다가 정작 떠나가고 없으면 그의 존재가 한없이 그립고 소중해지는 것이 사람의 생각인 것 같다. 만나고 싶으면 아무 때나 연락해서 만나고, 먹고 싶은 것 있으면 언제든 어울려나가서 사 먹을 수 있던 그 일상이 제한되고 정지되어 버린 순간 비로소 우린 얼마나 그런 평범함과 사소함이 큰 행복이었던가를 알게 되었다. 꽃이 피고 지는 것도, 열매가 열리고 익어가는 것도 제대로 눈여겨 봐 지지 않고 뉴스에 눈 귀 기울이며 온 세계가 불안에 떨고 있는 것을 보면서 인간이란 존재가 이렇게도 나약한 존재인가를 새삼 깨닫는다.

요즘은 아이들 집에도 마음대로 못 간다. 할아버지 할머니가 혹시 못 갈 데를 갔다 왔는가 싶어 불안해하는 것도 있기 때문이다. 그보다 나이가 들고 보니 면역력도 저항력도 떨어져 나도 모르게 뭐가 생겼을지도 모르겠고 또 조심한다고 했어도 어디서 무엇이 묻었을지도 모르니 지레 겁이 날밖에 없다. 그러니 괜히 아이들 보고 싶다고 갔다가 문제를 일으킬까 봐 두려움이 앞서는 것이다. 캠핑 가서도 전염되고 차 마시러 가서도 감염이 되었다니 사람이 모이는 곳에 갔다 오면 금방 죄인이 되는 것 같아서이기 때문이다.

6.25시대를 살아온 우리에게는 사실 모든 게 다 어렵고 힘들었다. 초등학교 때만 해도 도시락을 싸 오는 아이는 반도 못 되었다. 고무신도 여러 차례 꿰매어 신고 다녔었다. 그런데도 지금에는 그때의 어려움이 잘 생각나지도 않는다. 오히려 요즘이 더 어렵고 힘들게만 느껴진다. 풍요 속에 빈곤인가. 너무 편한 것이 병이 되고 너무 넘쳐 문제가 되는 세상에서 생각지도 않았던 코로나의 습격은 세상도 바꿔버려 수많은 다른 적응과 이해와 도전을 요구하고 있다. 발전이 다 좋은 것만도 아니고 풍요가 다 좋은 것만도 아니라면 배부른 투정일까.

사람은 조금 부족한 듯 사는 데서 오히려 행복을 느낀단다. 너무나 복잡하고 넘치고 빠르게 변하는 시대, 열 살 아이가 느끼는 ‘아, 옛날이여’가 결코 아이만의 것은 아닐 것 같다. 나도 ‘아, 옛날이여’다. 우선 코로나부터 없어져서 이전으로 돌아간 우리의 평상, 일상, 사소하고 평범한 삶이 회복되었으면 싶다. 가만히 ‘아 옛날이여’를 불러본다.

 

 

 

최원현 nulsaem@hanmail.net

《한국수필》로 수필,《조선문학》으로 문학평론 등단. 한국수필창작문예원장·사)한국수필가협회 이사장. 월간 한국수필 발행 겸 편집인. 사)한국문인협회 부이사장·국제펜한국본부 이사. 한국수필문학상·동포문학상대상·현대수필문학상·구름카페문학상·현석김병규수필문학상·조연현문학상·신곡문학상대상 수상 외, 수필집《날마다 좋은 날》《그냥》《누름돌》등 17권, 문학평론집《창작과 비평의 수필쓰기》등 2권, 중학교《국어1》《도덕2》등에 수필 작품이 고등학교 《국어1》《문학 상》등에 수필 이론이 실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