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 목 월간목회(2025년 4월호) 저 자 월간목회 편집국 펴낸날 2025년 4월 1일 판 형 208*276㎜ 분 량 244쪽 가 격 15,000원 분 야 도서> 잡지> 종교 도서> 큐티/월간지> 묵상/큐티>월간지 ISSN 1227-1586 12 (06578) 서울 서초구 반포대로39길 36-15 크로스웨이하우스 2층 전화 02-534-7196~8 | 팩스 02-532-8747 | 메일 mokhoi1976@naver.com 목 차
프롤로그 고영민 | 이달의 기도문 | 무너진 이 나라를 다시 수축하여 주옵소서 | 004 박철홍 | 데스크 칼럼 | 배움과 따름 | 035 특집 | 나는 제자입니다 김형익 | 21세기 대한민국의 예수 길따름이들 | 038 오정호 | 제자는 누구인가? | 044 김상철 | 나는 제자입니다! | 051 노종문 | 제자인가, 제자훈련가인가? | 056 기획 유기성 | 목회시론 ㅣ예수 그리스도와 동행하자 | 062 이도영 | 교회와 정치, 그 딜레마의 길을 묻다 ㅣ교회와 정치, 그 갈래 길에서 | 068 박형순 | 교회와 정치, 그 딜레마의 길을 묻다 ㅣ이제 정치를 재정의할 때다 | 074 박성철 | 교회와 정치, 그 딜레마의 길을 묻다 ㅣ오늘의 정치 현실,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 078 박창흥 | 총동원 전도 & 중보 기도 ㅣ기도와 전도, 교회의 성장과 성도의 성숙을 이끈 축 | 083 정민교 | 장애인 주일 ㅣ우리 교회는 장애인들과 함께하고 있나요? | 088 신예진 | 유치부 ㅣ유치부 사역, ‘동역이 힘’이다 | 092 권태진 | 일천일 기도회 ㅣ‘일천일 기도’, 목회와 영혼의 근력 | 096 목회 김한요 | 고백록ㅣ목회, 그 8부 능선을 넘고 되돌아보니 | 102 박헌성 | 목회서신ㅣ목회 길에 만난 선한 사마리아인, K 장로님께 | 108 이은호 | 담임ㅣ담임목사는 다양한 연결선을 만드는 리더다 | 112 양세원 | 개척ㅣ개척, 복음이 역동하게 하라 | 118 김민철 | 청빙ㅣ나만의 스토리, 청빙의 문턱을 넘다 | 126 김호성 | 교회 프리즘ㅣ혼자 하는 사역이 아닌 ‘삼동 믿음 목회’ | 131 백승린 | 디아스포라 한인교회ㅣ‘해답’을 찾아가는 교회 | 136 이정은 | 영혼을 낚는 어부들:필리핀ㅣ실패가 이끈 소명의 자리 | 140 설교 우상현 | 나의 설교 준비 | 강해설교로 근본에 집중한다 | 145 조재천 | 사도행전, 어떻게 설교할 것인가? | 다각도로 접근하는 사도행전 설교 | 150 박영호 | 사도행전 설교를 위한 참고 도서 | 여러 주제로 흥미진진한 ‘사도행전’ 이해하기 | 154 강 산 | 나의 사도행전 설교 | 사도행전, 복음의 어제와 오늘을 잇다 | 158 이정현 | 나의 사도행전 설교 | ‘광대한 보물’을 캐내는 강해설교 | 163 홍성훈 | 나의 사도행전 설교 | 아름다운 교회를 위한 온전한 연주와 같은 설교 | 168 고재만 | 어떻게 복음을 전할 것인가? | 예수 그리스도의 성품으로 전하라 | 174 서동원 | 나의 설교 | 모든 사람의 입에 쌀이 골고루 들어가는 평화(화평)가 오게 하려면? | 178 강화구 | 성금요예배/재의수요일 설교 | 겸손의 왕으로 오신 예수님 | 184 이상학 | 부활절 설교 | ‘장래 저기’에서 ‘지금 여기’를 살라! | 190 양육 최요한 | 영혼을 살피다 | 불 꺼지지 않는 교회 | 196 협력 권혜자 | 협력목회학 | 함께하신 하나님과의 단상 | 201 이지혜 | 협력목회 수기 | 목회라는 배를 타고 항해하는 삶 | 204 이재현 | 목회자 가정 l 모든 가정에는 두 가지가 있다 | 209 도은미 | 레헴가정생활연구소 | 하나님의 가족 세상을 꿈꾼다 | 214 이종훈 | 세계선교공동체 | ‘세계를 품은 그리스도인’의 사역과 삶을 지원한다 | 220 정보 김영진 | 나의 책: 스토리텔링성경 | 문서선교 사명에 이끌려 재밌게 풀어 쓴 성경책 | 224 이상환 | 나의 독서와 서재 | 고전, 이면과 내면 그 너머의 나와 우리를 보는 창 | 229 소재웅 | 출판사 l 다양한 영혼의 일상에 다가서에 하는 책 | 234 신간소개 | 238-241 협력서점 리스트 | 20 정기구독 안내 | 242 |
제 목 월간목회(2025년 4월호)
저 자 월간목회 편집국
펴낸날 2025년 4월 1일
판 형 208*276㎜
분 량 244쪽
가 격 15,000원
분 야 도서> 잡지> 종교
도서> 큐티/월간지> 묵상/큐티>월간지
ISSN 1227-1586 12
(06578) 서울 서초구 반포대로39길 36-15 크로스웨이하우스 2층
전화 02-534-7196~8 | 팩스 02-532-8747 | 메일 mokhoi1976@naver.com
목 차
프롤로그
고영민 | 이달의 기도문 | 무너진 이 나라를 다시 수축하여 주옵소서 | 004
박철홍 | 데스크 칼럼 | 배움과 따름 | 035
특집 | 나는 제자입니다
김형익 | 21세기 대한민국의 예수 길따름이들 | 038
오정호 | 제자는 누구인가? | 044
김상철 | 나는 제자입니다! | 051
노종문 | 제자인가, 제자훈련가인가? | 056
기획
유기성 | 목회시론 ㅣ예수 그리스도와 동행하자 | 062
이도영 | 교회와 정치, 그 딜레마의 길을 묻다 ㅣ교회와 정치, 그 갈래 길에서 | 068
박형순 | 교회와 정치, 그 딜레마의 길을 묻다 ㅣ이제 정치를 재정의할 때다 | 074
박성철 | 교회와 정치, 그 딜레마의 길을 묻다 ㅣ오늘의 정치 현실,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 078
박창흥 | 총동원 전도 & 중보 기도 ㅣ기도와 전도, 교회의 성장과 성도의 성숙을 이끈 축 | 083
정민교 | 장애인 주일 ㅣ우리 교회는 장애인들과 함께하고 있나요? | 088
신예진 | 유치부 ㅣ유치부 사역, ‘동역이 힘’이다 | 092
권태진 | 일천일 기도회 ㅣ‘일천일 기도’, 목회와 영혼의 근력 | 096
목회
김한요 | 고백록ㅣ목회, 그 8부 능선을 넘고 되돌아보니 | 102
박헌성 | 목회서신ㅣ목회 길에 만난 선한 사마리아인, K 장로님께 | 108
이은호 | 담임ㅣ담임목사는 다양한 연결선을 만드는 리더다 | 112
양세원 | 개척ㅣ개척, 복음이 역동하게 하라 | 118
김민철 | 청빙ㅣ나만의 스토리, 청빙의 문턱을 넘다 | 126
김호성 | 교회 프리즘ㅣ혼자 하는 사역이 아닌 ‘삼동 믿음 목회’ | 131
백승린 | 디아스포라 한인교회ㅣ‘해답’을 찾아가는 교회 | 136
이정은 | 영혼을 낚는 어부들:필리핀ㅣ실패가 이끈 소명의 자리 | 140
설교
우상현 | 나의 설교 준비 | 강해설교로 근본에 집중한다 | 145
조재천 | 사도행전, 어떻게 설교할 것인가? | 다각도로 접근하는 사도행전 설교 | 150
박영호 | 사도행전 설교를 위한 참고 도서 | 여러 주제로 흥미진진한 ‘사도행전’ 이해하기 | 154
강 산 | 나의 사도행전 설교 | 사도행전, 복음의 어제와 오늘을 잇다 | 158
이정현 | 나의 사도행전 설교 | ‘광대한 보물’을 캐내는 강해설교 | 163
홍성훈 | 나의 사도행전 설교 | 아름다운 교회를 위한 온전한 연주와 같은 설교 | 168
고재만 | 어떻게 복음을 전할 것인가? | 예수 그리스도의 성품으로 전하라 | 174
서동원 | 나의 설교 | 모든 사람의 입에 쌀이 골고루 들어가는 평화(화평)가 오게 하려면? | 178
강화구 | 성금요예배/재의수요일 설교 | 겸손의 왕으로 오신 예수님 | 184
이상학 | 부활절 설교 | ‘장래 저기’에서 ‘지금 여기’를 살라! | 190
양육
최요한 | 영혼을 살피다 | 불 꺼지지 않는 교회 | 196
협력
권혜자 | 협력목회학 | 함께하신 하나님과의 단상 | 201
이지혜 | 협력목회 수기 | 목회라는 배를 타고 항해하는 삶 | 204
이재현 | 목회자 가정 l 모든 가정에는 두 가지가 있다 | 209
도은미 | 레헴가정생활연구소 | 하나님의 가족 세상을 꿈꾼다 | 214
이종훈 | 세계선교공동체 | ‘세계를 품은 그리스도인’의 사역과 삶을 지원한다 | 220
정보
김영진 | 나의 책: 스토리텔링성경 | 문서선교 사명에 이끌려 재밌게 풀어 쓴 성경책 | 224
이상환 | 나의 독서와 서재 | 고전, 이면과 내면 그 너머의 나와 우리를 보는 창 | 229
소재웅 | 출판사 l 다양한 영혼의 일상에 다가서에 하는 책 | 234
신간소개 | 238-241
협력서점 리스트 | 20
정기구독 안내 | 242
특집
나는 제자입니다
지난 반세기를 지나는 동안 한국교회는 교인 수 증가라는 측면에서 폭발적인 외적 성장을 이루었다. 그럼에도 오늘날 교회는 세상으로부터 지탄의 대상이 되어 버렸다. 이러한 현실은 평신도에서 교회 지도자에 이르기까지 교회 구성원이라면 누구나 예외 없이, 신앙과 인격 그리고 삶의 영역에서 내적 성숙을 이루어 가야 할 직면 과제 앞으로 이끈다. 그리고 이 과제 해결의 시작과 중심에는 예수님의 제자라는 정체성에 대한 바른 인식과 회복이 견고히 자리하고 있다. 이에 「월간목회」 2025년 4월호에서는 ‘제자라는 정체성’과 ‘그에 합당한 삶’을 주제로, 제자란 무엇이며 일상 속에서 제자의 정체성에 합당하게 살아가는 삶이란 어떤 모습인지 그 구체적 실천 방안을 제시한다.
김형익 교수
21세기 대한민국의 예수 길따름이들
초기 교회의 그리스도인들은 자신의 모든 일상에서 길 되신 주님을 따르는 자들이었기에 ‘길따름이들’이라고 불렸다. 그러나 지금의 한국교회의 현실은 야경을 밝히는 수많은 교회당 십자가들이 있지만 길따름이, 곧 제자를 찾아보는 일이 쉽지 않다. 디도서가 가르치고 있듯이 참된 제자의 중요한 특성은 신중함이다. 신중함이란 ‘분별하고, 지혜롭고, 깨어 있으며, 사려 깊은 것’이다. 즉 참된 제자는 무슨 말을 하든지 묻지도 생각하지도 않고 따르는 자가 아니라, 생각하고 배우고 깨달으면서 따르는 사람이다. 참된 길따름이들이 절실히 필요한 이때, 정치 경제, 사회 그리고 개인의 삶 등 삶의 모든 영역에서 성경적 가치관으로 사고하며 답을 찾아가는 참된 제자, 곧 21세기 대한민국의 예수 길따름이들을 보기를 원한다. 신중한 제자들을!
오정호 목사
제자는 누구인가?
예수님의 참된 제자는 세 가지 영역에서 확고한 정체성의 뿌리를 내린 자다. 인간의 고질적 병폐인 ‘자기중심’을 버리고 삶의 모든 영역에서 ‘그리스도 중심’으로 살아가기를 결단하여 자신과 소유를 주님께 맡긴 전적 위탁자다. 뿐만 아니라 예수님의 지상 명령에 순종하여 증인의 사명을 띠고 세상 속에서 자신의 직업, 은사, 관계, 소유를 극대화하여 주님과 복음과 하나님 나라를 드러내는 일에 최선을 다하는 자다. 나아가 하늘 아버지의 뜻에 순종하여 죽기까지 낮아지신 예수님의 본을 따라 일상, 곧 가정과 교회와 일터에서 종의 정체성을 가지고 순종을 실천하는 자다. 이러한 한 사람의 제자를 세워 가는 일에 있어서 제자훈련은 하나님께서 교회와 목회자에게 주신 탁월한 도구이자 목회의 종합선물세트와 같다.
김상철 목사
나는 제자입니다!
교회론과 목회 철학 없이 시작했던 개척 목회. 실패의 쓰디쓴 잔을 경험한 후, <제자, 옥한흠>과 <부활, 그 증거>라는 영화를 감독하면서 비로소 교회론과 목회 철학은 중심을 잡을 수 있었다. 교회는 세상으로부터 선택받은 동시에 세상으로 보내진 제자공동체다. 그리고 중독과 상처로 힘겨워하는 이들을 일대일로 만나 그리스도의 제자로 세우고, 그들이 다시 다른 이들에게 희망을 전하는 사명자를 키우는 것. 이것이 나의 교회론과 목회 철학이다. 나는 제자인가? 예수님께서 찾아오신 사마리아 여인처럼, 아무도 주목하지 않는 이들의 곁에서 선한 사마리아인이 되려 한다. 희망이 사라진 듯한 이들을 외면하지 않는다. 척박한 길이지만, 함께 걸어가면 복음의 불꽃이 피어날 것이라 믿는다. 나는 제자다.
노종문 목사
제자인가, 제자훈련가인가?
예수님의 지상 명령은 제자가 무엇이며 제자 삼는 사역이 무엇인지를 규명해 준다. 이 명령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우리가 제자 삼는 사역자가 되기 전에 먼저 제자가 되어야 한다는 원리가 전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제자훈련가가 되기 전에 제자가 되어야 한다. 그렇다면 제자란 어떤 사람인가? 예수님의 모든 명령을 마음에 간직하고, 그 명령 속에서 하나님의 뜻을 발견하며, 그 명령을 자신 삶의 모든 영역에서 실천하면서, 삼위일체 하나님과 동행하는 삶을 사는 자다. 이러한 제자의 삶을 사는 자가 예수님의 참된 제자이며, 그때 비로소 진정한 제자훈련가가 될 수 있다.